달에 건축으로 생존하기 프로젝트
3부. 숨 쉬는 건축: 생명유지와 자급자족 시스템 - 우주 생존을 위한 폐쇄 생태계의 정교한 설계
“지구에선 물이 흘렀다.
달에서는, 물이 살아남는다.”
— 정우, 수계(수循) 블랙토토 노트
정우는 물블랙토토 하나를 유리관 안에서 바라보고 있었다.
그 작은 액체의 존재가,지금 이 기지를 살아 있게 만드는 유일한 조건이었다.
지구라면 그냥 흘려보낼 일.
그러나 여기 달에서는,모든 물질은 다시 돌아와야 한다.
정우는 물을 단일 자원으로 보지 않았다.
그는 물을 아래와 같이 나누었다.
정우는 단순히 물을 블랙토토시키는 것이 아니라,
**‘정보가 흐르는 유기적인 물의 여정’**으로 블랙토토했다.
“물을 돌리는 것이 아니라,
살아 있는 것처럼 이해하고 반응해야 한다.”
1. 수집(수집)
응축 수거기, 식물 증산 수집기
인체 호흡 + 작물 증발을 이용한 수분 회수
평균 회수량: 2.1리터/일/인
2. 분류(분류)
회색수와 흑수 자동 분리 센서
유기물 농도, 색도, 입자량으로 분류
3. 전처리(사전 치료)
물리적 필터 → 활성탄 → 자외선 살균
회색수는 80% 이상 재사용 가능
흑수는 바이오 반응조로 이송
4. 바이오 정화(바이오 리액터)
미생물 군집 기반의 유기물 분해
질소/인 제거, pH 조절
잔류 영양분은 식물재배 액상비료로 전환
5. 블랙토토(최종 정화)
역삼투압(RO) + 은이온 필터
인체 섭취 가능한 수준으로 환원
6. 재분배(배포)
압력조절 펌프
목적별 수계 분리 (음용/청소/작물용 등)
정우는 물을 하나의 기술이 아닌**하나의 ‘건축 동선’**으로 재해석했다.
물은 사람이 움직이는 동선을 따라 흐른다.
→ 회수 효율 ↑, 배관 손실 ↓
식물재배실을 중심으로 블랙토토 흐름 설계
→ 작물 증산수 → 정제 → 생활용수 → 작물 급수
바닥을 통한 ‘중력 낙차 기반’ 흐름 채택
→ 펌프 사용 최소화, 에너지 절약
윤서가 정우에게 물었다.
“이걸 블랙토토 시스템이라 부르지 않는 이유가 뭐야?”
그는 조용히 대답했다.
“블랙토토은 원형이야.
그런데 물은 그렇게 단순하지 않아.
오늘은 너의 샤워물이었다가,내일은 작물의 뿌리에 들어가고,다음 주엔 다시 너의 컵 안으로 들어와.”
“그건 블랙토토이 아니라,**‘변신하는 존재’야.
건축 안에 숨겨진 생명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