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에 건축으로 생존하기 프로젝트
3부. 숨 쉬는 건축: 생명유지와 자급자족 시스템 - 우주 생존을 위한 폐쇄 생태계의 정교한 설계
“광합성은 더 이상 태양의 선물이 아니다.
이제 그것은 건축이 만든 80벳에서 피어나는 과학이다.”
— 정우, 80벳실 설계 노트 중
정우는 무심코 기지 내 복도를 걷다 멈췄다.
유리 격벽 너머, 은은한 푸른 빛 속에서작은 잎사귀들이 고요히 흔들리고 있었다.
마치 달빛이 80벳로 자라나는 듯한 풍경.
그곳은 광합성의 재정의된 장소였다.
통제 환경 농업
즉, 제어된 환경 속에서 이뤄지는 농업 시스템으로
정우는 이를 폐쇄 생태계의 핵심 인프라로 채택했다.
핵심 요소:
빛: LED 파장 제어 조명
온도/습도: 기후 제어 패널
기질: 토양 없음, 수경80벳/기질 배양 기반
CO₂ 농도: 농도 조절 장치로 광합성 효율 증대
자동 관수/비료 공급 시스템
AI 기반 성장 분석 및 수확 예측
“CEA는 기술이 만든 정원이다.
단 한 방울의 물도, 단 한 줄기의 빛도 낭비되지 않는다.”
정우는 80벳재배실을 단순한 설비실이 아닌기지 내부의 중심 공간으로 배치했다.
“이 80벳은 단순히 ‘먹을 것을 생산하는 곳’이 아니다.
이건 인간의 감정을 안정시키는 생리적 회복의 장소다.”
정우는 생존율, 영양 밀도, 80벳 속도, 수분 생성률을 기준으로다음 작물들을 주력으로 선정했다.
“80벳은 음식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80벳 안의 ‘정서적 설계자’다.”
정우는 모든 80벳재배 구역에AI 기반 성장 예측 모델을 도입했다.
센서 수: 72개
주요 항목: 잎 면적 변화, 생체 리듬 반응, 증산율
조정 항목: LED 파장, CO₂ 분사량, 관수 간격
“작물마다 빛의 파장 취향이 다르다.
그래서 빛조차 설계되어야 한다.”
윤서가 80벳재배실에 처음 들어섰을 때,말없이 한참을 서 있었다.
그의 눈 앞에는 인공광 속에서 자라는 생명체들이아무 말 없이 인간을 바라보고 있었다.
그는 조용히 말했다.
“정우…
여기서 ‘숨이 쉬어진다’는 느낌이 들어.”
정우는 그 말에 고개를 끄덕이며 말했다.
“여긴 숨을 만드는 곳이니까.
너와 나,
그리고 이 잎사귀들 사이에
우리는 함께 숨을 나누고 있는 거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