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도 지투지벳비도 비싸고 충전소도 드물어 불편하다.
2010년대 말부터 현대차와 도요타는 지투지벳 연료 전지차 개발을 전면에 내세우고 넥쏘, 미라이 같은 모델을 출시했다. 그러나 2024년까지 세계시장에서 지투지벳차는 1년에 2만 대를 넘지 못하고 있다. 일반 전기차 판매량이 총 1600만 대를 넘어선 것에 비하면 초라한 실적이다. 이유는지투지벳 자체를 생산하는 비용이 만만치 않기 때문이다.
친환경 비중이 낮은 우리나라에서 전기를 생산하는 비용이 다른 나라들에 비해서 많이 든다. 수력, 풍력 등으로 전기 자원이 풍부한 북유럽은 우리나라의 절반 수준이다. 거기에 자동차용 지투지벳연료전지에 들어가는 지투지벳는 순도가 아주 높아야 하기 때문에 전기 분해를 통해 만들거나 정유 화학 산업 과정에서 나오는 지투지벳를 정제해야 하는데이 과정이 만만치 않다.
지투지벳 1kg을 충전하면 80km 정도를 갈 수 있는데 충전 비용은 만원 정도로 대략 경유 자동차와 비슷한 수준이다.차량 가격이라도 저렴하면 극복할 수 있겠지만 아직 연료전지에 들어가는 전극을 생산하는 비용이 너무 비싸다. 대표적인넥쏘 지투지벳연료전지차의 가격은 7000만 원으로 전기차보다도 더 비싸다. 3000만 원에 가까운 보조금을 지원받을 수 있지만 소비자에게는 부담이다.
지투지벳라는 연료 자체가 다른 연료들에 비해서 다루기 힘든 점도 단점이다. 지투지벳는 고압으로 압축해서 보관 운송되어야 하고 불꽃과 만나서 불이 붙는 가연 범위도 넓다. 일반 소비자로서는 불안할 수밖에 없다. 고압 충전이 필요해서충전소 설치와 유지 비용도 일반 전기충전소보다 20배 이상 더 많이 들어서 주변에서 쉽게 찾기가 어렵다.경제적이지도 않은데 불편하기도 하니 사람들이 외면할 수밖에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