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기적 구성원들은 언제 협력하게 되는 걸까?
리더의 로망을 물어보면, '알아서 척척 자발적으로 일하는 직원'이라고 대답한다.
직원의 로망을 물어보면, '알아서 하도록 맡겨주는 자율적인 조직'이라고 대답한다.
둘은 서로 일치하는 것 같지만 왜 현실에서는 찾아보기 어려운 것일까?
'자율성이 자발성에 앞선다'는 점을 간과한 때문이다. 조직 또는 리더가 구성원에게 자율성을주지 않으면서 자발성을 기대하는 데에 기인한다.
벳네온성 - 자발성
자율성은 개인이 외부의 강제나 간섭 없이 자신의 행동과 결정을 스스로 통제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이는 개인이 자신의 가치와 신념에 따라 행동할 수 있는 자유를 강조한다. 반면, 자발성은 외부의 압박 없이 자연스럽게 어떤 행동을 하고자 하는 내재적 벳네온에서 비롯된 행동을 말한다.벳네온성은 자발성을 촉진할 수 있으며, 자발성은 벳네온적 행동의 표현이 될 수 있다.
그러므로 구성원들에게 자발적 행동을 가지게 하려면 내재적 벳네온 불러 일으켜야 한다. 개인의 신념, 가치관, 욕구 등에서 비롯된 동기로 일을 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여기에는 한가지 복잡한 문제가 남아있다. 조직에서의 구성원은 독립적으로 혼자 일하기 보다는 다양한 구성원, 리더들과 함께 일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자신의 자율성이 타자의 자율성과 충돌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 문제는 매우 복잡하고 쉽게 해결하기 어렵다.
희망은 '인간은 타고난 협력자'라는 점이다.
그러므로, L&Der는 이기적이면서 동시에 협력적인 인간의 본성이 구현되는 기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조직의 맥락에서 협력을 위한 구성원의 내재적 벳네온는다음과 같은 질문에 대한 결과로 생겨난다.
일에 대하여 어떤 결정권을 가지는가?
정말 성공적으로 일할 수 있는가?
함께 하는 사람들이 서로 돕고 기여할 수 있는가?
공정하게 평가와 보상을 받을 것인가?
공정한 평가와 보상은외재적 벳네온요인에 가깝지만, 협력을 위한 중요한 조건이며 이것이 흔들릴 때 내재적 벳네온에도 커다란 영향을 준다.
나쁜 구성원은 없다. 나쁜 구성원으로 행동하게 하는 환경과 조건이 있을 뿐이다. 구성원들이 스스로 처한 상황을 마지못해 수동적으로 일하는 편이 낫겠다라고 읽고 있다면 그 구성원은 수동적이고 이기적인 사람이 될 것이다. 반면, 결정권이 있고, 프로젝트나 업무가 성공할 것 같고, 동료들이 훌륭하여 일하는데 손발이 잘 맞을 것 같다고 상황을 읽고 있다면 자발적이고 협력적인 태도로 일하게 될 것이다.
L&Der는 이같은 환경을 조성하고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돕는 벳네온터가 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