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거진 직지심공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구기욱 Feb 23. 2025

타이틀카지노하는 사람의 지혜

데이비드 봄과 미하일 바흐친의 관점 비교

권력으로 리더십을 발휘하는 것이 더 이상 먹히지 않는 시대에 리더에게 필요한 리더3력 중의하나는 타이틀카지노력이다. 수평조직, 학습조직, 애자일조직, 반영조직 모두 리더의 효과적인 타이틀카지노 능력을 필요로 한다.

일상의 타이틀카지노를 넘는 의도가 보다 잘 실현되는 타이틀카지노란 무엇인지 알아본다. 리더의 타이틀카지노력을 높이는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


타이틀카지노글로벌조직개발협회의 타이틀카지노 모습


이 포스팅에서는 국제커뮤니케이션학회(ICA)의 저널인 'Communication Theory'에 실린 논문 "Dialogical Wisdom, Communicative Practice, and Organizational Life"를 요약한다.중요 문장의원문과 번역을 싣고,주요 키워드에 대한 추가 설명, 그리고 중심 학자(데이비드 봄과 미하일 바흐친)에 대한 프로필과 연구 내용을 간략하게 담아 보았다.

이는 KOOFA의 팟캐스트, 팟방인 '직지심공'의 녹음을 위한 준비 자료이기도 하다.


타이틀카지노



논문 요약



이 논문은 조직 내 타이틀카지노(dialogue)를 전통적인 데이비드 봄(David Bohm)의 관점과 미하일 바흐친(Mikhail Bakhtin)의 관점으로 나누어 탐구한다. 봄의 접근법은 타이틀카지노를 MIT 학습 조직 프로젝트에서 비롯된 특별한 타이틀카지노 형태로 보고, 조직이 위기를 겪거나 2차 학습(second-order learning)이 필요할 때 사용된다고 본다. 이는 타이틀카지노를 일상에서 벗어난 "비정상적" 담론으로 간주한다. 반면, 저자들은 바흐친의 관점을 통해 모든 일상적 타이틀카지노가 본질적으로 타이틀카지노적(dialogic)이라고 주장한다. 바흐친의 타이틀카지노 이론은 언어가 자기(self)와 타자(other)의 상호작용 속에서 의미를 생성하며, 이는 고정되지 않고 계속 전개된다고 본다.


논문은 봄의 타이틀카지노가 집단의 사고(collective thinking)를 개선하는 데 초점을 맞춘 반면, 바흐친의 타이틀카지노는 관계적 실천(relational practice)으로서 사람 간의 연결을 강조한다고 비교한다. 저자들은 "타이틀카지노적 지혜(dialogical wisdom)"라는 개념을 제안하며, 이는 조직 구성원이 타이틀카지노 속에서 중심화(구심력, centripetal)와 분산화(원심력, centrifugal) 힘을 조화롭게 다루는 실천적 판단 능력을 뜻한다. 이를 위해 전체성(wholeness), 독특성(uniqueness), 창발성(emergence)에 대한 감수성을 키우는 타이틀카지노 실천 방안을 제시한다.


타이틀카지노




논문의 주요 내용


<MIT 전통

"Organizational dialogue has traditionally been associated with the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learning organization project rooted in the work of David Bohm."

"조직 내 타이틀카지노는 전통적으로 데이비드 봄의 작업에 뿌리를 둔 매사추세츠 공과대학(MIT) 학습 조직 프로젝트와 연관되어 왔다."


"Dialogue is viewed as a form of conversation that allows organizational members to grapple with complex system realities and to engage in second-order learning by examining the tacit assumptions and theories-inuse that guide their activity (Argyris, 1993; Schein, 1993, 1996)."

"타이틀카지노는 조직 구성원이 복잡한 시스템 현실을 다루고, 그들의 행동을 이끄는 암묵적 가정과 사용이론을 다시 생각하도록 함으로써 2차 학습에 들어갈수 있게 하는 타이틀카지노 형태로 간주된다"



<참고


팀 내 커뮤니케이션 -타이틀카지노 이론 (The Theory of Dialogue)

(Senge et al, 1994)


물리학자 데이비드 봄(David Bohm)은 타이틀카지노를 사고의 암묵적 기반 구조를 드러내고 바꾸는 타이틀카지노 형태로 설명한다. 인간은 세상에 의미를 부여하고 세상을 더 쉽게 다루기 위해 범주와 고정관념을 만든다. 우리가 세상을 어떻게 범주화하는지는 우리의 경험, 환경, 지성, 감정, 민족, 시간과 장소에 대한 인식, 지위와 권력, 언어, 스타일, 그리고 우리가 행동을 조절하는 전반적인 방법에 달려 있다. 이것이 우리가 습관을 형성하는 방식이다. 지식 연구 팀에서 획일적 범주화(global categorization)는 재앙이 될 것이다. 연구 수행, 제품 설계, 의학적 치료법 발견, 사람을 위한 새로운 관리 시스템 창출은 공유된 의미(shared meaning)를 통해 이루어져야 한다.


유능해지려면 연습과 스킬이 필요하다. 성공적인 팀을 만드는 단계에서 서두르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센게(Senge)에 따르면, 첫 번째로 필요한 스킬은 의견 차이의 원인을 분석하여 자신의 사고 과정을 인식하는 것이다. 자신의 행동을 인정하면, 팀의 효율성을 개선하려는 행동을 조정하고 싶어진다. 다른 팀원들이 당신의 헌신에 대한 기대를 충족하지 못할 때 행동을 부정하거나 변명하는 대신 말이다. 문제를 인정하고 해결에 도움을 요청하는 것이 팀원들이 당신의 행동에 좌절하는 것보다 낫다. 목표는 협력적으로 사고하는 능력을 향상시켜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상호작용하는 능력을 높이는 것이다. 초기 팀 타이틀카지노는 잘 정의되고, 명확히 표현되며, 합리적인 기본 규칙을 세우면 이 과정을 촉진한다.


이 과정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법을 한 학기 안에 마스터할 수는 없지만, 팀을 구조화하고 유지하는 방식을 주의 깊게 살펴보면 협력적이고 창의적으로 사고하는 것이 무엇인지 이해할 수 있다.


(이에 관하여 집중적으로 스킬을 향상 시키고 싶으시다면, 리더의 타이틀카지노력:https://www.koofa.kr/courses/143을 수강해 보세요)



타이틀카지노의 수준과 단계


팀의 커뮤니케이션 과정에는 수준이 있다. 이 과정은 송신자와 수신자를 포함하는 공유 의미 모델이 적용된다.


원시적 논쟁(Raw Debate) - 예의 바른 타이틀카지노(Polite Conversation) - 숙련된 타이틀카지노(Skilful Conversation) - 타이틀카지노(Dialogue)


이 단계는 단속적이기 보다는 연속선 상에 있으며, 한 단계를 뛰어 넘거나 이전 단계로 돌아갈 수 있다. 센게는 타이틀카지노 이론을 개발하기 위해 그릇(container)이라는 비유를 선택했다. 그릇은 팀의 집단적 가정, 공유된 의도, 그리고 믿음의 총합이다. 단계를 거쳐가면서 팀원들은 팀 분위기의 변화를 느낄 수 있다. 이 타이틀카지노는 단순한 브레인스토밍이 아니라,서로에 대해 배우고, 작업에 대한 집단적 관점을 가지는 것을 통해 의미를 공유하는 능력이 된다.


(출처: MIT 웹사이트 -https://web.mit.edu/collaboration/mainsite/modules/module1/1.10.4.html)



데이비드 봄: Wholeness, Timelessness and Unfolding Meaning

https://besharamagazine.org/metaphysics-spirituality/david-bohm-wholeness-timelessness-and-unfolding-meaning/


<데이비드 봄의 주요 저서

Wholeness and the Implicate Order (1980, 한국어: "전체성과 접힌질서") - 우주의 전체성 이론.

On Dialogue (1990, 한국어: "타이틀카지노란 무엇인가") - 타이틀카지노의 철학적 기초.



<논문 저자의 제안

"Rather than view dialogue as a special type of conversational episode that enables human beings to improve their collective thinking in order to master complex system realities, we view dialogue as a way to improve linguistic tools and make choices about the ways we position ourselves in conversation."

"타이틀카지노를 복잡한 시스템 현실을 다루기 위해 집단적 사고를 개선하는 특별한 '타이틀카지노 사건'으로 보지 않고, 우리는 타이틀카지노를 언어 도구를 개선하고 타이틀카지노에서 우리가 스스로를 위치 짓는 방식을 선택하는 방법으로 본다."


<바흐친 철학의 근거

"The single adequate form for verbally expressing authentic human life is the open-ended dialogue. Life by its very nature is dialogic." (Bakhtin, 1984)

"진정한 인간 삶을 언어로 표현하는 유일하고 적절한 형태는 끝없이 열린 타이틀카지노다. 삶은 그 본질상 타이틀카지노적이다."


<저자의 주장

"We propose the idea of dialogical wisdom—a way of evaluating the linguistic choices organizational members make in conversation that maintains a productive dynamic between centripetal and centrifugal forces."

"우리는 '타이틀카지노적 지혜'라는 아이디어를 제안한다. 이는 조직 구성원이 타이틀카지노에서 언어적 선택을 평가하는 방식으로, 중심화와 분산화 힘 사이의 생산적 역학을 유지한다."




미하일 바흐친

참고 사이트:https://www.hup.harvard.edu/books/9780674574175


바흐친(Bakhtin)은 타이틀카지노주의(dialogism)에 대해 여러 가지 특이한 의미를 제안한다. 그는 “사람들이 서로 커뮤니케이션에 사용하는 모든 발화(utterance), 말로든 글로든, 내부적으로 타이틀카지노적이다”(Bakhtin, 1986 as cited in Marchenkova, 2005, p. 72)라고 언급한다. 또한 그는 타이틀카지노가일종의 말하기로서 목소리의 경쟁으로 이어간다고 언급한다. 그러므로 타이틀카지노는 “인간 삶의 본성 자체이며, 타이틀카지노에서 사람은 자신의 눈, 입술, 손, 영혼, 정신, 온몸으로 일생 동안 온전히 참여하는 것이다”(Bakhtin, 1984, p. 293).


우리는 바흐친(Bakhtin)이 의도한 타이틀카지노가 형식적으로는 일종의 담론일 뿐 아니라, 소통에 초점을 맞추고 언어 학습을 기반으로 하는 의식의 모델이라고 말할 수 있다. 바흐친(Bakhtin)은 또한 다음과 같이 말한다. “타이틀카지노주의는 지속적으로 답변을 향해 있다. 생활 속 타이틀카지노에서 사용하는단어는 미래의 답변 단어를 직접적이고 명백하게 지향한다. 그것은 답변을 유도하고, 미리 예상하며, 답변의 방향으로 구조화된다”(Bakhtin, 1981, p. 280).


타이틀카지노주의에는 항상 논쟁의 여지가 남아 있다. 질문은 보편적 진리보다는 각자의 관점을 보여주는 것이기 때문이다. 바흐친(Bakhtin)에 따르면, 모든 인간은 저항하고, 대립하며, 사회적 상호작용에서 개인적 의미를 만들어내고 싶어 한다. 그래서 그는 만장일치의 동의를 찾기보다는 모든 문화 집단 안에 있는 개별적 인격을 강조한다. (Nesari, 2015에서 가져옴)





논문에 나타난 주요 키워드


1. Second-Order Learning (2차 학습) :

단순히 지식을 습득하는 1차 학습을 넘어, 기존의 믿음과 가정을 성찰하고 바꾸는 깊은 학습을 뜻한다. 봄의 타이틀카지노는 이를 촉진하는 도구로 사용할 수 있다. 아지리스의 모델 II, 이중고리사고가 이와 관련된다.


2. Theory-in-Use (사용이론)

사람들이 실제 행동을 결정할 때 무의식적으로 따르는 내재된 믿음과 가정을 의미한다. 이는 공식적으로 표명된 이론(espoused theory)과 달리, 관찰 가능한 행동을 통해 드러나는 실질적 행동 원칙을 말한다.


3. Dialogical Wisdom (타이틀카지노적 지혜)

바흐친의 관점에서 제안된 개념으로, 타이틀카지노에서 중심화(통합)와 분산화(다양성)를 균형 있게 다루는 실천적 판단 능력을 의미한다.이는 조직 내 다중 목소리를 존중하며 창의적 대응을 가능하게 한다.


4. Centripetal vs. Centrifugal Forces (중심화 vs. 분산화 힘)

중심화는 통합과 단일성을 추구하는 힘, 분산화는 다양성과 분리를 촉진하는 힘이다. 바흐친은 타이틀카지노가 이 두 힘의 긴장 속에서 이루어진다고 본다.


5. Heteroglossia (다성성)

하나의 언어 안에 다양한 목소리와 관점이 공존하는 상태를 뜻한다. 바흐친은 이를 타이틀카지노의 본질로 보며, 단일한 언어적 통합을 경계한다.





<쿠의 정리


구조화 되고 체계화된 타이틀카지노의 방법을 제시하여 일상의 타이틀카지노가 해결하지 못하는 맹목적이고 비효율적인 타이틀카지노에 대하여 그 이유를 분석하고 해결방안을 제시하고 있는 것이 MIT 방식의 타이틀카지노법이다.


이중고리 사고, 2차 학습 등의 개념을 제시하여, 단일고리와 1차 학습의 원시성을 극복하고자 노력한다. 경영자 또는 조직개발자에게 보다 직접적인 해법과 지침을 제공한다. 키는 자기 말만 하는 것에서 벗어나 상대방에게 상대의 주장에 대하여 근거와 가정을 물어보는 것이다. 묻지 않고 새롭게 배우기 어렵다.


https://thesystemsthinker.com/productive-conversations-using-advocacy-and-inquiry-effectively/



반면, 저자들은 바흐친의 타이틀카지노 철학에 기초하여 일상 타이틀카지노의 숨은 순기능을 강조한다. 체계적 타이틀카지노의 추구로 인하여 손상될 수 있는 다성성의 상실을 걱정한다.


늘 마주하는 두 가치의 경합을 여기서도 만난다. 당장의 또는 단기적이 효과를 높이려면 보다 구조적이고 체계적인 타이틀카지노가 필요하다. 당장 마주하고 있는 문제의 해법을 효율적으로 찾아내는 것이 더 좋다.


그러나 그러한 업무적 타이틀카지노는 장기적으로 인간적인 관계를 무너뜨릴 수 있다. 시시콜콜한 타이틀카지노에도 충분한 가치가 숨어 있고 이러한 가치가 충족될 때 관계는 더 오래 친밀하게 이어질 수 있다.


향상 양자의 균형이 어렵다. 지혜란 그런 것이다. 중용의 도는 어렵지만 그래서 다시 한 번 옳다.












<참고 문헌

Bakhtin, M. M. (1984). Problems of Dostoevsky’s poetics (C. Emerson, Ed. and Trans.). Minneapolis: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Barge, J. K., & Little, M. (2002). Dialogical wisdom, communicative practice, and organizational life.Communication Theory,12(4), 375-397.

Nesari, A. J. (2015). Dialogism versus monologism: A Bakhtinian approach to teaching.Procedia-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205, 642-647.


<참고 사이트


직지심공

https://www.podbbang.com/channels/14900


유튜브 채널 KOOFA

https://www.youtube.com/@KOOFA


쿠퍼 홈페이지

https://koofa.kr/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