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원민 /@@gWhP 손원민의 브런치스토리입니다. 저는 양자물리학자 입니다. 양자광학에 대한 연구를 시작으로 양자기초론, 양자정보 이론등을 연구하였으며 다체계 양자얽힘 및 거시 양자현상을 연구중입니다. ko Fri, 16 May 2025 12:44:13 GMT Kakao Brunch 손원민의 브런치스토리입니다. 저는 양자물리학자 입니다. 양자광학에 대한 연구를 시작으로 양자기초론, 양자정보 이론등을 연구하였으며 다체계 양자얽힘 및 거시 양자현상을 연구중입니다. //img1.daumcdn.net/thumb/C100x100/?fname=http%3A%2F%2Fk.kakaocdn.net%2Fdn%2FoXm6m%2FbtrU9ehCOao%2FPDErNX1xwfDMSu7foGtJsk%2Fimg_640x640.jpg /@@gWhP 100 100 거시계에서의 양자정보 - 슈뢰딩거 고양이의 발견 /@@gWhP/14 제1장 에필로그 양자 현상은 광자나 전자 혹은 적어도 단원자 크기의 입자계에서 나타나는 현상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양자론이 원자의 안정적 구조를 설명하며 광자의 존재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형성된 미시세계를 설명하는 이론이기 때문이다. 그러한 양자론은 그 탄생 이후에 세가지 정도의 다른 방향으로 진화하기 시작한다. 첫번째는 양자론 체계에 관한 논의이며 두번 Tue, 21 Jan 2025 05:42:47 GMT 손원민 /@@gWhP/14 워밍업 - 달리기의 시작: 걷다 뛰다 완주까지 /@@gWhP/13 - 워밍 업 (달리기의 시작) : 걷다 뛰다 완주까지, 런던리치몬드, 가마동, 반달 (강변맨션) 누구나 처음 달리기를 시작할 때 자신의 능력을 결코 다 알 수는 없다. 인간의 능력이라는 것은 실제로 그것을 모두 꺼내 확인하기 전까지는 그저 그 모든 것이 상상의 영역이기 때문이다. 머리속으로&nbsp;생각만 하던 일이 현실세계에서 정말로 일어나는 것을 경험하는 일은 Tue, 21 Jan 2025 04:36:47 GMT 손원민 /@@gWhP/13 기적의 달리기 - 공식세계기록 서브2를 기다리며 /@@gWhP/12 - 기적의 달리기 (서브3,세계 7대 마라톤, 파크런) : 공식세계기록 서브2를 기다리며 Tue, 21 Jan 2025 04:27:14 GMT 손원민 /@@gWhP/12 영광과 함께 만km - 서울 한복판 달리기에서 보스턴까지 /@@gWhP/11 - 영광과 함께 (보스턴에서 쏘아올린 희망) : 달리는 하루 하루, 년 5000k 팀130, 화목팀, 반종스쿨&gt; 빈이와 승현이 (한가람210) - 한강, 용산, 반포, 여의도, 성수, 남산, 노들섬, 서울숲,&nbsp;벗꼿달리기, 동작현충원, - 보스턴 가는길, - Tue, 21 Jan 2025 04:20:19 GMT 손원민 /@@gWhP/11 본격적 레이스 - 싱글 주자가 된다는 것 /@@gWhP/10 - 본격적 레이스 (빨라질 수 있다면) : 싱글 주자가 된다는 것 이선춘, 서울플라이어즈, 건국에이스(김홍식스쿨)&gt;둘째와 코로나 (한가람204) 마라톤 트레이닝의 모든 것은 꾸준하면서도 규칙적인&nbsp;운동, 체계적이고&nbsp;계획성있는 훈련, 적절한 영양과 휴식을 위한&nbsp;건강한 생활습관으로 요약된다. 즉 잘 준비해야 빨라질 수 있다는 것이다. 3:30의 기록에서 3시간 Tue, 21 Jan 2025 04:18:39 GMT 손원민 /@@gWhP/10 출발의 신호 - 나는 왜 달리는가? /@@gWhP/9 - 출발의 신호 (나는 왜 달리는가) : 4:20분에서 3:30분으로 VMK,서울마라톤(반달),질선생님&gt;새로운 가정 (동아그린) 나는 왜 달리는가에 대한 질문이 멈추기까지 꽤 오랜 시간이 걸렸다. 그 긴시간동안 나는 계속 달리고 있으면서도 과연 나는 왜 달리고 있는지에 대한 답을 쉽사리 할 수 없었다. 초기엔 &quot;무엇때문에&nbsp;달리게 되었는가&quot;라는 질문에 답을 Tue, 21 Jan 2025 03:57:02 GMT 손원민 /@@gWhP/9 양자역학에서 측정과 불확실성 - 불확정성 원리에 대하여 /@@gWhP/8 물리학과 첨단기술 2013년 5월 22권 5호 초청기고글 제1절 에필로그 양자 이론은 그 이해가 태생적으로 이해하기가 간단하지 않을 수밖에 없는 이유가 있다. 이는 이론의 가장 근본이 되는 원리가 바로 불확정성의 원리라는 데에서 찾을 수 있다. 불확정성을 다른 말로 풀어서 설명하자면 &lsquo;정확히 알 수 없는 성질&rsquo; 혹은 &lsquo;확실한 결정이 어려운 성질&rsquo; 정도<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jpg/?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gWhP%2Fimage%2FA-zJynhIXQLnIxDOWnUlmC9UcGI" width="300" /> Fri, 17 Jan 2025 03:28:39 GMT 손원민 /@@gWhP/8 달리기의 기술 (프롤로그) - 나를 변화시킨 놀라운 습관, 마라톤 /@@gWhP/7 -프롤로그 글을 쓰기까지 한참을 고민했다. 여러 이유로 언젠가 한번은 내가 뛰게된 과정을 정리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하지만&nbsp;언제 어디에서 시작해야 할지 잘 몰랐다. 그것은 현재 진행형인 나만의 도전이 아직 끝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래도 시간이 갈수록 점점 나의 마지막 목표가&nbsp;명확해지고 있다는 것을 알게되었다. 최종의 목표를 향해가는&nbsp;이 싯점에서 내게는 Wed, 15 Jan 2025 01:52:58 GMT 손원민 /@@gWhP/7 생성문법 이론과 양자상태 - 생성문법 이론의 수학적 구조와 양자 스핀 기술의 유사성에 관하여 /@@gWhP/5 2022년 8월 생성문법과 양자표현법의 관계연구&nbsp;: 생성문법 이론의 수학적 구조와 양자 스핀 기술의 유사성에 관하여 제1장 에필로그 모든 언어에는 규칙이 있고 그러한 언어의 규칙은 문법이 된다. 그러한 문법 안에 수학적 구조에 &nbsp;해당하는 규칙이 존재한다는 사실이 최근 연구를 통해 알려진 바 있다. 관련 연구를 통해 생성문법에 서 논의된 문장 생성의 Thu, 02 Jan 2025 02:46:14 GMT 손원민 /@@gWhP/5 몇가지 주제의 모노로그(21,20,19,12) - 과실연 웹진, 물첨 편집후기, 서강옛집 명강의 /@@gWhP/4 과실연(2021년2월), 과실연(2020년6월), 물첨편집(2019년3월), 서강옛집(2012년11월) 성공적 4차 산업 혁명과 미래기술 습득의 조건, 손원민 (편집보도위원회 부위원장/서강대학교 물리학과 교수) [손원민 교수] 성공적 4차 산업 혁명과 미래기술 습득의 조건 By&nbsp;관리자&nbsp;&nbsp;2021년 2월 8일 2019년 말 시작된 Covid19 전염병<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gWhP%2Fimage%2FHFHKF2e5ssKpH4HmGEWDX4S-Drs.jpg" width="400" /> Thu, 02 Jan 2025 01:41:24 GMT 손원민 /@@gWhP/4 비국소적 얽힘상태를 검증하다 - 물리학과 첨단기술 초청 기고글 2022년 12월호 /@@gWhP/3 제1절 에필로그 2022년 10월 발표된 노벨 물리학자 수상자는, &ldquo;알랭 에스펙(Alan Aspect), 존 클라우져(J. Clauser), 안톤 자일링거(Anton Zeilinger)&rdquo;. 2022년 10월 4일 스웨덴 노벨상 수상 위원회는 위 세 과학자의 노벨상 수상을 전격 발표하였다. 위원회는 그들의 노벨상 수상 이유로 &ldquo;양자 얽힘 상태를 이용하여 Thu, 02 Jan 2025 01:12:11 GMT 손원민 /@@gWhP/3 순간이동 가능한 날 올까? - 2012년 11월 과학동아 기고글 /@@gWhP/2 제1절 에필로그 143km 떨어진 두 섬, 양자 전송 성공 1997년 인류는 &lsquo;순간 이동&rsquo;의 가장 기초 기술이라고 할 수 있는 &lsquo;양자 전송&rsquo;에 처음으로 성공했다. 2003년 양자 전송의 거리는 800m로 늘어났다가 최근에는 143km까지 연장됐다. 앞으로 대기권 바깥의 인공위성으로도 양자 전송 실험을 할 계획이다. 올해 노벨 물리학상도 양자 전송과 관계<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jpg/?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gWhP%2Fimage%2FPEb-qkpPOvyppdU-0Ru1alHRn9o.JPG" width="500" /> Wed, 01 Jan 2025 14:30:33 GMT 손원민 /@@gWhP/2 정보란 무엇인가? - 셰논의 정보와 ET 제임스의 열적 정보에 대하여 /@@gWhP/1 제1절 프롤로그 우리는 일상적으로 헨드폰을 사용하고 TV를 시청하고 있지만 정보이론에 대해 정확히 아는 사람은 그리 많지 않다. 더욱이&nbsp;현대인의 통신과 정보전달에 막대한 기여를 했다는 사실을 아는 사람은 정말&nbsp;흔치않다. 그만큼 정보 이론이라는 것이 지극히 전문적인 영역으로 인식되어 있고 일반적으로 쉬운 접근이 어렵기&nbsp;때문일 수 있다. 하지만 정보 전달이 Wed, 01 Jan 2025 14:13:21 GMT 손원민 /@@gWhP/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