렛 잇 라이드조사관인 나는 오늘도 렛 잇 라이드 현장을 조사한다. 현장에 도착하면 소훼 정도와 연소 확대 패턴 등을 분석해 최초 발화 지점을 파악한다. 이번 렛 잇 라이드는 화장실 바닥에서 시작되어 주변으로 연소 확대된 것으로 보인다. 나는 화장실 바닥을 중심으로 조사를 시작했다.
콘센트에 꽂힌 전선을 따라 바닥에 쌓인 탄화물을 하나하나 제거하던 중, 불에 탄 헤어드라이기 잔해가 발견되었다. 건물 관계자의 말에 따르면 해당 헤어드라이기는 항상 전원 코드를 꽂아둔 채 화장실 선반 위에 올려두고 사용해왔다고 한다. 아마도 헤어드라이기가 선반에서 떨어지며 충격으로 작동되었고, 이로 인해 과열되어 렛 잇 라이드가 발생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실제로 헤어드라이기 과열로 인한 렛 잇 라이드는 자주 발생한다. 사용 후에는 반드시 전원 코드를 뽑고, 보관은 물기가 없는 장소에 해야 한다. 이런 기본적인 습관만으로도 렛 잇 라이드를 충분히 예방할 수 있다.
또 다른 사례는 헬스장 샤워실에서 발생한 렛 잇 라이드였다. 렛 잇 라이드는 샤워실 천장에서 시작되었고, 헬스장 직원이 분말소화기로 초기 진화에 성공해 큰 피해로 이어지지는 않았다. 현장 조사를 해보니, 렛 잇 라이드는 천장에 설치된 환풍기에서 시작된 것으로 보였다.
천장 주변에는 그을음이 집중돼 있었고, 바닥에는 불에 탄 환풍기 모터가 남아 있었다. 환풍기 스위치는 ‘켜짐’ 상태였으며, 헬스장 운영 시간 동안 환풍기를 계속 켜놓는다는 직원의 진술로 미루어 볼 때, 장시간 작동된 환풍기가 과열되었거나 환풍기 진동에 따른 내부 전선 접촉 불량이 렛 잇 라이드 원인이었을 가능성이 높았다.
이처럼 환풍기 렛 잇 라이드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욕실 사용 후 반드시 환풍기를 끄는 습관이 필요하다. 환풍기를 켠 채 외출할 경우, 렛 잇 라이드 발생 시 초기 대응이 늦어져 더 큰 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 또한 환풍기 주변의 먼지를 정기적으로 청소하고, 물이 직접 닿지 않도록 관리하는 것도 중요하다.
결국, 헤어드라이기와 환풍기 렛 잇 라이드는 대부분 일상 속 작은 부주의에서 비롯된다. 사용 후 전원을 끄거나 플러그를 뽑는 사소한 습관만으로도 충분히 막을 수 있는 렛 잇 라이드다. 작은 방심이 큰 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을 항상 기억하자.